예절과 예법29 조선시대 관직과품계[官職과品階]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품 계(品階)(현대의직위) 관 직 명(官職名) 정 1 품(국무총리) 영의정 좌의정(문관) 우의정 도제조(이상 무관)영사 도제조 대장(이상 지방관) 종 1 품(부총리)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판사 정 2 품(장관,차관, 본부장대장 ,도지사) 지사 판서 좌참찬, (문관) 우참찬 대제.. 2008. 3. 4. 계촌법 ▶ 계촌법 1.직계 가족(直系 家族) 5촌 현조부(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高祖父) 종고조(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曾祖父) 종증조(從曾祖) 재종증조(再從)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祖父) 종조(從祖) 재종조(再從祖) 3종조(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父) 백숙부(伯叔父) 종백숙부(從伯) 재종백.. 2007. 9. 12. 한복 입는법 <남자한복> 남자 한복 겨울철에는 솜바지, 솜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으나 요즘은 거의 겹옷을 입으며, 가을에는 겹옷, 여름에는 홑옷을 입는다. 예복에는 대례복과 상복이 있고 평 상복으로는 외출복, 집에서 입는 가정복, 작업을 할 때 입는 작업복으로 구별된다. 평상복으로는 속옷으로 속고.. 2007. 9. 12. 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 2007. 9. 11.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