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 프 레 슨

골프규칙 7

by 헤스티아 ™ 2008. 6. 20.
  제20조 볼의 집어 올리기, 드롭 및 플레이스, 오소
 
20-1. 볼의 집어 올리기와 마크하기(Lifting and Marking)
퍼팅 그린 위의 볼은 규칙 16-1b에 따라 집어 올렸을 경우 닦을 수 있다.
기타의 장소에서는 다음 경우를 제외하고 집어 올려진 볼을 닦을 수 있다.

a. 플레이에 적합한 볼인가 아닌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어 올렸을 때(규칙 5-3)
b. 식별을 위하여 볼을 집어 올렸을 경우 단, 이 경우 식별에 필요한 한도만큼 닦는 것이 허용(규칙 12-2)
c. 플레이의 원조 또는 방해가 되기 때문에 볼을 집어 올렸을 경우(규칙 22)

이 규칙에 의하여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한 홀에서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가 자기의 볼을 닦으면 1타의 벌이 부가되며 집어 올린 볼은 리플레이스하여야 한다.
볼은 리플레이스하여야 할 때 리플레이스를 이행하지 않으면 그 플레이어는 규칙 20-3a의 반칙에 대한 벌이 부가된다. 그러나 규칙 21에 의한 벌은 추가되지 않는다.

예외:플레이어가 규칙 5-3, 규칙 12-2, 규칙 22의 반칙으로 벌이 부가되었을 경우, 본 규칙에 의한 추가벌은 적용되지 않는다.
 
 
20-2. 드롭과 재드롭(Dropping and Re-dropping)
a. 드롭하는 사람과 방법
드롭되어야 하는 볼은 규칙에 따라서 플레이어 자신에 의하여 드롭되어야 한다. 플레이어는 똑바로 서서 볼을 들고 어깨 높이에서 팔을 완전히 펴서 드롭하여야 한다. 만일 다른 사람 또는 다른 방법으로 볼을 드롭하였을 때에는 그 잘못을 규칙 20-6에서 규정한 대로 시정하지 않는 경우 1타의 벌이 부가된다. 드롭한 볼이 코스의 일부에 떨어지기 전 또는 후에 플레이어, 파트너, 그들의 캐디 또는 휴대품에 접촉하면 그 볼은 벌없이 재드롭하여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재드롭할 때에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볼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 규칙 1-2 참조)

b. 드롭하는 장소
특정 지점에 되도록 가깝게 볼을 드롭할 경우, 이때 드롭은 특정지점과 비교하여 홀과 가깝지 않아야 하며 플레이어가 정확한 지점을 알지 못할 경우는 플레이어의 추정(推定)에 의한다. 볼을 드롭할 때는 적용규칙이 요구하는 드롭지점인 코스의 일부에 볼이 먼저 떨어져야 한다. 만일 이와 같이 드롭된 것이 아닐 경우 규칙 20-6, 20-7이 적용된다.

c. 재드롭의 경우
드롭한 볼이 다음 상태로 되는 때는 벌없이 다시 드롭하여야 한다.
(1) 해저드에 굴러 들어가서 해저드 안에 멎는 경우
(2) 해저드에서 굴러 나와 해저드 외부에 멎는 경우
(3) 퍼팅 그린 안으로 굴러 들어가서 퍼팅 그린 안에 멎는 경우
(4) 아웃 오브 바운드에 굴러 들어가서 멎는 경우
(5) 규칙 24-2b(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또는 규칙 25-1(비정상적인 코스상태) 규칙 25-3(목적외 퍼팅 그린) 또는 로컬룰(규칙 33-8a)에 의하여 구제를 받았으나 방해가 있는 위치로 굴러들어가서 멎거나, 또는 규칙 25-2(지면에 박힌 볼)에 의하여 집어 올렸던 바로 그 볼 자국에 다시 굴러 들어가서 멎는 경우
(6) 볼이 코스의 일부에 처음 떨어진 곳에서 2클럽 길이 이상 굴러서 멎은 때
(7) 볼이 다음 지점 보다 홀에 가까운 곳으로 굴러가서 멎은 때
      (a) 규칙에서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원위치 또는 추정위치(규칙 20-2b 참조)
      (b)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 또는 최대한 가용한 구제지점(규칙 24-2, 25-1, 25-3)
      (c) 원구가 워터 해저드 또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 경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규칙 26-1)

재드롭한 볼이 상기와 같은 장소에 굴러간 경우에는 재드롭시 처음 떨어진 코스의 일부인 지점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본 규칙에 의하여 재드롭 또는 플레이스해야 될 볼이 곧 회수되지 못하는 경우는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다.

주:만약 드롭 또는 재드롭한 볼이 정지한 후에 움직였을 경우 다른 규칙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한 그 볼은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플레이되어야 한다.
 
 
20-3. 플레이스와 리플레이스(Placing and Replacing)
a. 플레이스하는 사람과 장소
규칙에 의하여 플레이스하는 볼은 플레이어 또는 그의 파트너가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볼을 리플레이스 할 경우, 그 플레이어나 그의 파트너 혹은 그 볼을 집어 올렸거나 움직인 사람이 집어올렸거나 움직여진 지점에 플레이스 하여야 한다. 이 모든 경우에도 규칙위반에 대한 책임은 그 플레이어가 져야 한다. 볼을 플레이스 또는 리플레이스하는 과정에서 볼이나 볼마커가 우연히 움직여진 경우 그 볼이나 볼마커는 리플레이스 되어야 한다.
볼이나 볼마커의 움직임이 볼을 플레이스 혹은 리플레이스 하는 행위 혹은 볼마커를 치우는 등의 특정행위에 전적으로 기인했을 경우 벌은 부가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규칙 18-2a 또는 규칙 20-1에 의거 1타의 벌이 플레이어에게 부가된다.

b. 플레이스 또는 리플레이스를 요하는 볼의 라이가 변경되었을 경우
플레이스 또는 리플레이스 해야 할 볼의 최초라이가 변경된 경우에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1) 해저드 이외의 장소에서는, 홀에 더 가깝지 않고 원위치에서 1클럽 길이 이내의, 해저드 이외의 장소에 원(原)라이에 가장 유사하고 가장 가까운 라이에 플레이스해야 한다.
(2) 워터 해저드 안에서는 볼을 그 워터 해저드내에 플레이스해야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1)에 따라서 플레이스해야 한다.
(3) 벙커 내에서는 원(原)라이와 되도록 비슷한 상태로 복원하고 그 라이에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c. 위치가 불명인 경우
볼을 플레이스하거나 리플레이스할 지점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1) 스루 더 그린에서는 원위치에 되도록 가깝고 해저드 또는 퍼팅 그린 위가 아닌 장소에 드롭해야 한다.
(2) 해저드 내에서는, 해저드 내로서 원위치에 가장 가까운 장소에 드롭해야 한다.
(3) 퍼팅 그린 위에서는, 해저드 아닌 장소로 원위치에 가장 가까운 장소에 플레이스 해야 한다.
예외:플레이 재개시(규칙 6-8d) 볼을 플레이스할 지점을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추정하여야 하며 그 추정 지점에 볼을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d. 정지하지 않는 볼
플레이스한 볼이 플레이스되어야 할 지점에 정지하지 않을 때에는 그볼을 벌없이 다시 리플레이스하여야 한다. 그래도 볼이 그 지점에 정지하지 않을 때에는
(1) 해저드 이외의 장소에서는, 홀에 더 가깝지 않고 해저드 아닌 장소로 볼이 플레이스 될 수 있는 곳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플레이스해야 한다.
(2) 해저드 내에서는, 그 해저드 내로써 홀에 더 가깝지 않고 볼이 플레이스 될 수 있는 곳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플레이스해야 한다.
만일 볼이 플레이스되어야 할 지점에 플레이스되어 정지한 이후, 그 볼이 움직이면 벌은 없으며, 다른 적용할 조항이 없는 한 그 볼은 있는 그대로 플레이하여야 한다.

규칙 20-1, 20-2, 20-3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20-4. 드롭 또는 플레이스하였을 때가 인 플레이 볼(When Ball Dropped or Placed is in Play)
플레이어의 인 플레이 볼이 집어 올려졌으면 그 볼은 드롭 또는 플레이스 되었을 때 다시 인 플레이가 된다. 교체된 다른 볼은 드롭 또는 플레이스 되었을 때 인 플레이의 볼이 된다. (잘못 교체된 볼 - 규칙 15-2참조)
(교체나 드롭 또는 플레이스를 잘못한 볼의 집어 올리기 - 규칙 20-6 참조)
 
 
20-5. 앞서 스트로크 한 곳에서 다음 스트로크를 하는 경우
규칙에 의하여, 플레이어가 앞서 스트로크한 곳에서 다음 스트로크를 선택할 때, 또는 하지 않으면 안될 때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이 처리를 하여야 한다.

a. 티잉 그라운드 위:플레이할 볼은 티잉 그라운드 구역 안에서 플레이하여야 한다. 또 티잉 그라운드 안에서는 어느 곳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때 볼을 티업해도 된다.
b. 스루 더 그린과 해저드 안:플레이할 볼은 드롭하여야 한다.
c. 퍼팅 그린 위:플레이할 볼은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본 항의 반칙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20-6. 부정확하게 교체나 드롭 또는 플레이스한 볼의 집어 올리기
본 규칙에 반하여 부정확하게 교체되었거나 오소에 드롭하였거나 또는 플레이스 되어도 아직 플레이하지 않은 볼은 벌없이 집어 올릴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그 후에 올바르게 처리하여야 한다.
 
 
20-7. 오소(誤所)에서의 플레이(Playing from Wrong Place)
a. 통칙
플레이어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관련된 자신의 인 플레이 볼을 스트로크한 경우 오소에서 플레이한 것이 된다.
(1) 규칙에 의하여 스트로크하거나,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은 코스의 일부 지점에서
(2) 규칙에 의하여 드롭한 볼을 재드롭해야 하거나, 움직인 볼을 리플레이스 해야 할 때
주:티잉 그라운드 밖에서 혹은 틀린 티잉 그라운드에서 플레이한 볼에 관해서는 규칙 11-4참조

b. 매치 플레이
플레이어가 오소에서 스트로크한 경우 그 홀의 패가 된다.

c. 스트로크 플레이
경기자가 오소에서 스트로크한 경우 해당되는 규칙에 의하여 2벌타를 받은 후 중대한 위반(주(註)1 참조)을 범하지 않았다면 그의 잘못을 시정하지 않고 오소에서 플레이한 볼로 그 홀의 플레이를 끝마쳐야 한다.
경기자가 오소에서 플레이한 후 그가 그 사실을 알게 되어 중대한 위반을 범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경우, 다음 티잉 그라운드에서 스트로크하기 전에 경기자는 제2의 볼을 규칙에 따라서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여 그 볼로 그 홀의 플레이를 끝마쳐야 한다. 또 그 라운드의 마지막 홀인 경우에는 퍼팅 그린을 떠나기 전에 규칙에 따라서 제2의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여 그 볼로 그 홀의 플레이를 끝마친다는 뜻을 선언하여야 한다.
경기자는 그의 스코어 카드를 제출하기 전에 위원회에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며 보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경기 실격이 된다. 위원회는 경기자가 해당 규칙에 대하여 중대한 위반을 범했는지 범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재정하여야 한다. 중대한 위반을 범했을 경우 제2의 볼로 낸 스코어를 카운트하며 경기자는 그 스코어에 2벌타를 추가하여야 한다. 경기자가 중대한 위반을 범하였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잘못을 시정하지 않았을 경우 그 경기자는 실격이 된다.

주 1:경기자가 오소에서 플레이한 결과로 현저(顯著)한 이익을 얻었다고 위원회가 생각한 경우에 플레이어는 해당되는 규칙의 중대한 위반을 범했다고 간주된다.
주 2:경기자가 규칙 20-7c에 의하여 제2의 볼을 플레이하였는데 그 볼을 카운트하지 않기로 재정한 경우 그 볼을 플레이한 스트로크 수와 단지 그 볼을 플레이하면서 받은 벌타는 모두 무시된다. 또 제2의 볼을 카운트하기로 재정된 경우 원구를 오소에서 플레이한 스트로크 수와 계속해서 그 볼로 낸 스트로크 수 그리고 단지 그 볼을 플레이하면서 받은 벌타는 모두 무시된다.
 
 
  제21조 볼을 닦는 일
 
21-1. 볼을 닦는 일
 
 
  제22조 플에이의 원조 또는 방해과 되는 볼
 
22-1. 구제(Relief)
 
 
22-1. 플레이에 원조가 되는 볼(BallAssisting Play)
루스 임페디먼트와 볼이 모두 같은 해저드 안에 있거나 접촉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루스 임페디먼트도 벌 없이 제거할 수 있다. 볼이 퍼팅 그린 위가 아닌 다른 곳에 놓여 있을 때 플레이어가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하다가 그 볼을 움직인 경우에는 규칙 18-2a를 적용한다.

퍼팅 그린 위에서 플레이어가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하는 과정에 볼이나 볼 마커를 움직인 경우 그 볼이나 볼 마커는 리플레이스 하여야 한다. 볼이나 볼 마커가 움직인 원인이 그 루스 임페디먼트를 제거하는 것에 직접적으로 기인한 경우에는 벌이 없다. 그렇지 않고 플레이어가 그 볼을 움직인 원인이 된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18-2a에 의하여 1벌타를 받는다.
볼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 그 볼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는 루스 임페디먼트는 제거해서는 안된다.

주:볼이 해저드 안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같은 해저드 안에 놓여 있거나 그 해저드에 접촉하고 있는 루스 임페디먼트에 접촉하거나 움직여서는 안된다(규칙 13-4c).

본 규칙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해저드 내의 볼의 수색 - 규칙 12-1 참조)
(퍼트의 선에 접촉하는 것 - 규칙 16-1a 참조)
 
 
22-2.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볼(Ball Interfering with Play)
볼이 움직이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의 볼이 자신의 플레이에 방해가 될 염려가 있다고 생각할 경우에 그는 그 볼을 집어 올리게 할 수 있다.
본 규칙 22에 의하여 집어 올린 볼은 리플레이스 하여야 한다(규칙 20-3 참조). 퍼팅 그린 위에 있는 볼을 제외하고 볼을 닦아서는 안된다(규칙 21 참조).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자신의 볼을 집어 올리도록 요구 받은 플레이어는 볼을 집어 올리는 대신 오히려 먼저 플레이할 수 있다.

주:퍼팅 그린 위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단지 다른 플레이어의 플레이에 방해가 될 염려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볼을 집어 올려서는 안된다. 플레이어가 집어 올리도록 요구 받지
않았는데 자신의 볼을 집어 올린 경우 규칙 18-2a의 위반으로 1벌타를 받지만 규칙 22에 의한 추가의 벌은 없다.

본 규칙의 위반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제24조 장해물
 
24-1.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Movable Obstruction)

플레이어는 아래와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로부터의 구제를 받을 수 있다.

a. 볼이 그 장해물의 안 또는 위에 있지 않을 때에는 그 장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볼이 움직인 경우 리플레이스하여야 하며 그러한 이동이 장해물의 제거에 전적으로 기인한 경우 벌은 부가되지 않는다. 그 밖의 경우는 규칙 18-2a의 적용된다.

b. 볼이 장해물의 안 또는 위에 있을 때에는 벌없이 볼을 집어 올려 장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볼은 장해물의 안 또는 위에 있던 곳의 바로 밑의 지점에 가능한 한 가깝고 홀에 가깝지 않은 지점에, 스루 더 그린 또는 해저드에서는 드롭, 퍼팅 그린 위에서는 플레이스하여야 한다.규칙 24

규칙 24-1에 의하여 집어 올린 볼은 닦을 수 있다. 볼이 움직이고 있을 때는 사람이 붙어서 시중들고 있는 깃대 또는 플레이어들의 휴대품이외에 볼의 이동에 영향을 줄만한 장해물을 제거하여서는 안된다.
(볼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 규칙 1-2 참조)
주:본 규칙에 의하여 드롭 또는 플레이스 되어야 할 볼을 곧 도로 찾을 수 없을 때는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다.

 
 
24-2.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Immovable Obstruction)

a. 방해
볼이 장해물의 안 또는 위에 있던가, 볼이 이에 접근한 곳에 정지하여 플레이어의 스탠스 또는 의도하는 스윙의 구역을 방해할 정도일 때는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에 의한 방해가 생긴 것으로 한다. 플레이어의 볼이 퍼팅 그린 위에 있고 퍼팅 그린 위에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이 있어서 플레이어의 퍼트의 선을 방해할 경우에도 방해가 생긴 것으로 한다. 위의 경우 이외에 플레이의 선상에 있는 장해물 그 자체는 본 규칙에서 말하는 방해가 아니다.

b. 구제
볼이 워터 해저드 또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 내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에 의한 방해로부터의 구제를 벌없이 받을 수 있다.


(1) 스루 더 그린
볼이 스루 더 그린에 정지하고 있을 때 플레이어는 벌 없이 볼을 집어 올려서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으로부터 1클럽 길이 이내로, 그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보다 홀에 더 가깝지 않은 곳에 드롭하여야 한다. 이때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은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에 있어서는 안된다.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에서 1클럽 길이 이내에 볼을 드롭했을 때 그 볼은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에 의한 방해를 피하고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가 아닌 코스상의 일부 지점에 먼저 떨어져야 한다.

(2) 벙커 안
볼이 벙커 안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그 볼을 올려서 다음의 한 가지 방법으로 드롭하여야 한다.
(a) 벌 없이, 위의 (1)에 따라서 처리하되 다만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은 벙커 안에 있어야 하며 볼도 그 벙커안에 드롭하여야 한다.
(b) 1벌타를 받고, 홀과 볼이 놓여 있었던 지점을 연결한 직선상으로 그 벙커 밖의 한 지점에 드롭하되 그 지점이 벙커 후방이면 아무리 멀리 떨어져도 그 거리에는 제한이 없다.

(3) 퍼팅 그린 위
볼이 퍼팅 그린 위에 정지하고 있을 때 플레이어는 그 볼을 집어 올려 해저드내가 아닌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에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은 퍼팅 그린을 벗어나도 된다.

(4) 티잉 그라운드 위
볼이 티잉 그라운드 위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볼을 집어 올려서 위의 (1)에 따라서 드롭하여야 한다.
본 규칙 24-2b에 의하여 볼을 집어 올린 경우 그 볼은 닦을 수 있다.
(볼이 방해에 의한 구제를 받았던 장소로 다시 굴러 들어간 경우는 규칙 20-2c(5) 참조)

예외:플레이어는
(a) 그의 스트로크의 방해가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이외의 물건에 의한 것임이 분명한 때
(b)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에 의한 방해가 불필요한 비정상적인 스탠스, 스윙 또는 플레이 방향을 취할 때에만 생기는 경우는 규칙 24-2b에 의한 구제를 받을 수 없다.


    주 1:볼이 워터 해저드(래터럴 워터 해저드 포함) 내에 있는 경우 그 플레이어는 벌없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에 의한 방해로부터의 구제를 받을 수 없다. 그 플레이어는 볼이 정지한 그대로 플레이하던가 규칙 26-1에 의한 처리를 하여야 한다.
    주 2:본 규칙에 의하여 드롭 또는 플레이스 되어야 할 볼을 곧 도로 찾을 수 없을 때는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다.
    주 3:위원회는 플레이어가 그 장해물의 위를 넘어가거나, 안 또는 아래를 통과하지 않고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을 결정하여야 한다고 명시하는 로컬룰을 만들 수 있다.

     
     
    24-3. 장해물안에서 분실된 볼(Ball Lost in Obstruction)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쪽으로 볼을 친 후 볼이 그 장해물 안에서 분실되었는지의 여부(與否)는 사실입증에 관한 문제가 된다. 볼이 그 장해물 안에서 분실 된 것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런 취지의 합리적인 증거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증거가 없을 때에는 그 볼을 분실구로 처리하여야 하며, 규칙 27을 적용한다.

    a.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 안에서 분실된 볼
    볼이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 안에서 분실된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장해물을 제거하고 그 볼이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의 바로 아래 지점에 되도록 가깝고 홀에 더 가깝지 않은 곳에, 스루 더 그린이나 해저드 안에서는 볼을 드롭하고 퍼팅 그린 위에서는 볼을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b.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안에서 분실된 볼
    볼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 안에서 분실된 경우에는 그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볼이 최후로 넘어간 지점을 결정하여야 하며, 본 규칙 24-3의 적용 목적상, 그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에 그 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이 구제를 받을 수 있다.

    (1) 스루 더 그린
    볼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이 스루 더 그린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4-2b(1)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2) 벙커 안
    볼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이 벙커 안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4-2b(2)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3) 워터 해저드(래터럴 워터 해저드 포함) 안
    볼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이 워터 해저드 안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구제를 받을 수 없다. 플레이어는 규칙 26-1에 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4) 퍼팅 그린 위
    볼이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이 퍼팅 그린 위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4-2b(3)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본 규칙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 -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 - 2벌타

     
     
      제25조 비정상적인 코스의 상태, 박힌 볼 및 목적
     
    25-1. 비정상적인 코스상태(Abnormal Ground Conditions)

    a. 방해
    비정상적인 코스상태 내에 볼이 들어가 있거나 접촉하고 있을 때, 또는 그러한 코스의 상태가 플레이어의 스탠스나 의도하는 스윙의 구역을 방해할 경우에는 방해가 생긴 것으로 한다. 만일 플레이어의 볼이 퍼팅 그린 위에 있고 퍼팅 그린 위에 그러한 상태가 플레이어의 퍼트의 선상에 있을 경우도 방해가 생긴 것으로 한다. 그러나 플레이의 선상(線上)의 개재는 그 자체로써 본 규칙에 의한 방해는 아니다.
    주:위원회는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가 플레이어의 스탠스에 방해가 되어도 구제를 인정하지 않는 로컬룰을 제정할 수 있다.

    b. 구제
    볼이 워터 해저드 또는 래터럴 워터 해저드 내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로 인한 방해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제받을 수 있다.

    (1) 스루 더 그린
    볼이 스루 더 그린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볼을 집어 올려서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으로부터 1클럽 길이 이내로, 그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보다 홀에 더 가깝지 않은 곳에 그 볼을 드롭하여야 한다. 이때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은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에 있어서는 안된다.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에서 1클럽 길이 이내에 볼을 드롭했을 때 그 볼은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에 의한 방해를 피하고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가 아닌 코스상의 일부 지점에 먼저 떨어져야 한다.

    (2) 벙커 안
    볼이 벙커 안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그 볼을 집어 올려서 다음의 한 지점에 드롭하여야 한다.
    (a) 벌 없이 위의 (1)에 따라서 결정한 지점. 다만 다음의 경우는 위의 (1)에서 제외한다. 즉,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은 벙커 안 이어야 하며, 볼도 벙커 안에서 드롭하여야 한다. 완전한 구제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최대한의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코스상의 일부로 홀에 더 가깝지 않고 볼이 놓여 있었던 곳에 되도록 가까운 그 벙커 안의 1지점.
    (b) 1벌타를 받고 벙커 바깥에 홀과 볼이 놓여 있었던 지점을 연결한 후방 선상의 지점, 이때 그 지점이 벙커 후방이면 아무리 멀리 떨어져도 그 거리에는 제한이 없다.

    (3) 퍼팅 그린 위
    볼이 퍼팅 그린 위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그 볼을 집어 올려서 해저드 안이 아닌 곳으로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에 플레이스 하거나, 만일 완전한 구제가 불가능하면 홀에 더 가깝지 않고 해저드 안 이외의 장소이며 그 상태에서 최대한의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볼이 놓여 있었던 곳에 가장 가까운 장소에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가장 가까운 구제지점 혹은 최대한의 구제지점은 그린 밖이 될 수도 있다.

    (4) 티잉 그라운드 위
    볼이 티잉 그라운드 위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볼을 집어올려서 위의 (1)에 따라서 드롭하여야 한다. 본 규칙 25-1b에 의하여 집어 올린 때는 그 볼을 닦을 수 있다. (구제처리를 취한 결과 방해상태의 지점으로 다시 볼이 굴러 들어간 경우에는 규칙 20-2c(5) 참조)
    예외: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 본 규칙에 의한 구제를 받을 수 없다.
    (a) 비정상적인 코스상태 이외의 상태로 인하여 스트로크에 분명하게 방해가 된 때, 또는
    (b) 방해가 불필요한 비정상적인 스탠스, 스윙 또는 플레이 방향을 취할 때에 생기는 경우

    주 1:볼이 워터 해저드(래터럴 워터 해저드 포함) 안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에 의한 방해로부터 벌 없이 구제를 받을 수 없다. 플레이어(로컬 룰에 의하여 금지되지 않는 한)는 볼을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플레이하거나, 규칙 26-1에 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주 2:본 규칙에 의하여 드롭 또는 플레이스 되어야 할 볼을 곧 회수할 수 없을 때에는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다.


    c. 분실구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로의 방향으로 맞고 난 후에 분실되었을 때에는 그러한 상태로 인하여 분실되었는가의 여부는 사실입증에 관한 문제가 된다. 그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에서 분실된 것이라고 처리하기 위하여서는 그런 취지의 합리적인 증거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증거가 없을 경우 그 볼은 분실구로 처리하여야 하고 규칙 27을 적용한다.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지점을 결정하여야 하며, 본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 그 볼은 이러한 지점에 놓여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 스루 더 그린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상태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곳이 스루 더 그린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5-1b(1)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2) 벙커 안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곳이 벙커 안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5-1b(2)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3) 워터 해저드 안(래터럴 워터 해저드 포함)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상태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곳이 워터 해저드 안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구제를 받을 수 없다. 플레이어는 규칙 26-1에 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4) 퍼팅 그린 위
    볼이 비정상적인 코스상태의 가장 바깥쪽 한계를 최후로 넘어간 곳이 그린 위의 한 지점인 경우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른 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규칙 25-1b(3)에 규정된 바에 따라서 구제를 받을 수 있다.

     
     
    25-2. 지면에 박힌 볼(Embedded Ball)
    스루 더 그린의 짧게 깎은 구역 내에 낙하의 충격으로 자체의 피치 마크에 박힌 볼은 벌없이 집어 올려 닦은 후 원위치에 가장 가깝고 홀에 접근하지 않는 지점에 드롭할 수 있다. 드롭할 때는 볼은 스루 더 그린내 코스의 일부에 먼저 닿아야 한다.

    “짧게 깎은 구역”이라 함은 러프를 건너가는 통로를 포함하여 페어웨이의 잔디 높이 이하로 깎은 코스 상의 모든 구역을 의미한다.
     
     
    25-3. 목적 외 퍼팅 그린(Wrong Putting Green)
    a. 방해
    볼이 목적 외의 퍼팅 그린 위에 있을 때 목적 외의 퍼팅 그린에 의한 방해가 생긴 것으로 한다. 플레이어의 스탠스나 의도하는 스윙 구역에 대한 방해 그 자체는 본 규칙에서 취급하는 방해가 아니다.

    b. 구제
    플레이어의 볼이 목적외 퍼팅 그린 위에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볼이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플레이해서는 안된다. 플레이어는 벌 없이 다음과 같이 구제를 받아야 한다.
    즉 플레이어는 볼을 집어 올려서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으로부터 1클럽 길이 이내로 그 지점보다 홀에 더 가깝지 않은 곳에 그 볼을 드롭하여야 한다. 이때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은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에 있어서는 안된다.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에서 1클럽 길이 이내에 볼을 드롭했을 때 그 볼은 목적외 퍼팅 그린에 의한 방해를 피하고 해저드 안이나 퍼팅 그린 위가 아닌 코스상의 일부 지점에 먼저 떨어져야 한다. 본 규칙 25-3에 의하여 볼을 집어 올린 경우 그 볼은 닦을 수 있다.

    본 조의 반칙은 매치플레이 - 그 홀의 패 스트로크플레이 - 2벌타
     
     
      제26조 워터 헤저드(레터럴 워터 헤저드 포함)
     
    26-1. 워터 해저드에 들어간 볼(Ball in Water Hazard)
    볼이 워터 해저드 방향으로 간 후에 분실된 때 그 해저드에서 분실되었는가 그 밖에서 분실되었는가의 여부는 사실 입증에 관한 문제가 된다. 그 볼이 해저드 내에서 분실된 것이라고 처리하기 위하여서는 그 볼이 해저드 안에 들어갔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증거가 없을 경우에는 그 볼은 분실구로 처리하여야 하며 규칙 27을 적용한다.

    볼이 워터 해저드 내에 있던가 또는 분실된 경우(볼이 수중(水中)에 있고 없고에 불구하고)는 플레이어는 1타의 벌을 부가하고 다음 처리 중 하나를 할 수 있다.

    a. 원구를 앞서 플레이한 장소에 되도록 가까운 지점에서 볼을 플레이 한다(규칙 20-5 참조).
    b. 볼이 최후로 워터 해저드 구역의 경계를 넘어선 지점과 홀을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그 워터 해저드 후방에 드롭한다. 볼을 드롭할 수 있는 워터 해저드 후방의 거리에는 제한이 없다.
    c. 볼이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경계를 최후로 넘었을 때 추가로 행사할 수 있는 선택은 홀에 가깝지 않게 다음 지점으로부터 2클럽 길이 이내에서 워터 해저드 밖에 드롭한다.
       (1) 원구가 워터 해저드의 경계를 최후로 넘은 지점
       (2) 홀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워터 해저드 건너편 대안(對岸)의 경계상의 지점규칙 26

    본 규칙에 의한 집어 올린 볼은 닦을 수 있다.
    (볼이 워터 해저드 안에 있는 경우 금지되는 행위 - 규칙 13-4 참조)
    (워터 해저드 내의 물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볼 - 규칙 14-6 참조).
     
     
    26-2. 워터 해저드 내에서 플레이한 볼(Ball Played Within Water Hazard)

    a. 볼이 같은 워터 해저드 혹은 다른 워터 해저드내에 정지한 경우
    워터 해저드 안에서 플레이한 볼이 스트로크한 후에도 같은 워터 해저드 안에 혹은 다른 워터 해저드 안에 정지한 경우 플레이어는 다음의 한 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1) 규칙 26-1a에 의하여 처리한다. 또 플레이어가 볼을 그 워터 해저드 안에 드롭 한 후 그 볼을 플레이하지 않기로 선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a) 그 워터 해저드와 관련하여 규칙 26-1b에 규정된 1벌타를 추가해서 받고 그 규칙에 의하여 처리하거나, 적용할 수 있으면 규칙 26-1c에 규정된 1벌타를 추가해서 받고 그 규칙에 의하여 처리한다. 또는
    (b) 1벌타를 추가해서 받고 그 워터 해저드 밖에서 최후로 스트로크한 지점에 되도록 가까운 곳에서 볼을 플레이한다(규칙 20-5 참조).

    (2) 규칙 26-1b에 의하여 처리하거나 적용할 수 있으면 규칙 26-1c에 의하여 처리한다. 또는
    (3) 1벌타를 받고 그 워터 해저드 밖에서 최후로 스트로크한 지점에 되도록 가까운 곳에서 볼을 플레이한다(규칙 20-5 참조)

    b. 해저드 밖에서 분실 또는 언플레이어블 혹은 아웃 오브 바운드 된 볼
    워터 해저드내에서 플레이한 볼이 그 해저드 밖에서 분실되거나 언플레이어블이 되거나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가 된 경우 규칙 27-1 또는 규칙 28a에 의하여 1벌타를 부가한 후에 :

    (1) 해저드내에서 원구를 앞서 플레이한 곳에 되도록 가까운 지점에서 볼을 플레이하거나(규칙 20-5 참조)
    (2) 규칙 26-1b에 따라 혹은 적용 가능할 경우 규칙 26-1c에 따라 1벌타를 부가하고 볼이 해저드에 들어오기 전에 해저드의 경계선을 최후로 넘은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규칙에 의거 처리하거나
    (3) 1벌타를 추가로 부가하고 워터 해저드 밖에서 앞서 플레이 되었던 지점과 되도록 가까운 곳에서 볼을 플레이 한다(규칙 20-5 참조)

    주 1:규칙 26-2b에 의거 처리할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27-1 또는 규칙 28a에 따라 볼을 드롭할 필요는 없다. 그가 볼을 드롭하더라도 꼭 그 볼을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2)항 혹은 (3)항을 선택하여 처리하여도 된다.
    주 2:워터 해저드 내에서 플레이하여 해저드 밖으로 나온 볼은 언플레이어블로 선언할 때 본 규칙 b의 규정은 플레이어가 규칙 28b 또는 28c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규칙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제27조 분실구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잠정구
     
    27-1. 분실구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볼(Ball Lost or Out of Bounds)
    볼이 분실되거나 아웃 오브 바운드에 들어간 때에는 플레이어는 1 벌타를 받고 그 볼을 앞서 플레이한 지점, 또는 되도록 그곳에 가까운 지점에서 볼을 플레이하여야 한다(규칙 20-5 참조).

    예외:1. 원구가 워터 해저드에서 분실되었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26-1에 의거 처리하여야 한다.
    2. 원구가 장해물(규칙 24-3c) 또는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규칙 25-1c) 내에서 분실되었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적용할 수 있는 규칙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규칙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27-2. 잠정구(Provisional Ball)
    a. 처리
    볼이 워터 해저드 밖에서의 분실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염려가 있는 때에는 시간절약을 위하여 그 볼을 플레이한 원위치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서 규칙 27-1에 의거 잠정적으로 다른 볼을 플레이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매치 플레이에서는 상대방,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자기의 마커 또는 동반경기자에게 잠정구를 플레이할 의사를 통고하고 플레이어 또는 파트너가 원구를 찾으러 나가기 전에 플레이하여야 한다. 이것을 이행(履行)하지 않고 다른 볼을 플레이하면 그 볼은 잠정구가 아니고 스트로크와 거리(距離)의 벌에 의하여 인플레이 볼이 되며(규칙 27-1) 원구는 분실구로 친다.
    (티잉 그라운드에서의 플레이 순서 - 규칙 10-3 참조)
    주:규칙 27-2a에 의하여 플레이한 잠정구가 워터 해저드 밖에서 분실되었거나 아웃오브바운드가 되었을 염려가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또 다른 잠정구를 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잠정구를 플레이했을 경우 그 볼과 앞서 플레이한(첫번째) 잠정구와의 관계는 첫 번째 플레이한 잠정구와 원구와의 관계와 같다.

    b. 잠정구가 인 플레이의 볼이 되는 경우
    플레이어는 원구가 있다고 생각하는 곳에 도달할 때까지는 그 잠정구를 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플레이어가 원구가 있다고 생각하는 곳으로부터 또는 그곳보다 홀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잠정구를 플레이한 경우 원구는 분실로 간주되며 잠정구는 스트로크와 거리의 벌에 의하여 인 플레이 볼이 된다(규칙 27-1).
    원구가 워터 해저드 밖에서 분실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가 된 경우 잠정구는 스트로크와 거리의 벌에 의하 인 플레이 볼이 된다(규칙 27-1).
    원구가 워터 해저드 내에서 분실되었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26-1에 의거 처리하여야 한다.
    예외:원구가 장해물(규칙 24-3) 또는 비정상적인 코스상태(규칙 25-1c) 내에서 분실되었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 플레이어는 적용할 수 있는 규칙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c. 잠정구를 포기할 때
    원구가 분실되지 않았고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도 아니면 플레이어는 잠정구를 포기하고 원구로 플레이를 계속하여야 한다. 이때 플레이어가 더 이상 잠정구를 스트로크한 경우 플레이는 오구의 플레이로 간주하여 규칙 15의 규정이 적용된다.

    주:규칙 27-2a에 의하여 잠정구를 플레이한 경우, 본 규칙 27-2가 적용된 후 규칙 27-2c에 의하여 뒤에 포기하게 된 잠정구를 플레이한 스트로크 수와 단지 그 볼을 플레이한 것에 의하여 받은 벌타는 모두 삭제된다.
     
     
      제28조 언플에이어블의 볼
     
    28-1. 언플레이어블의 볼(Ball Unplayable)
    볼의 언플레이어블 여부(與否)는 그 볼의 소유자인 플레이어만이 결정할 수 있으며 워터 해저드 내에 있는 경우를 제외한 코스위 어느 곳에서나 언플레이어블이라고 정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자기 볼이 언플레이어블인가 아닌가를 결정할 유일한 사람이다. 만일 플레이어가 자기의 볼을 언플레이어블로 정할 때에는 1벌타를 부가하고 다음 각 규칙의 처리 중 하나를 택하여야 한다.

    a. 볼을 앞서 플레이한 곳에 되도록 가까운 장소에서 다음 스트로크를 한다(규칙 20-5 참조).
    b. 홀과 볼이 있었던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전위치(前位置)보다 후방에 거리의 제한없이 볼을 드롭할 수 있다.
    c. 볼이 있는 곳에서 2클럽 길이 이내로 홀에 접근 하지 않는 지점에 드롭한다.

    만일 언플레이어블의 볼이 벙커 내에 있을 경우에도 플레이어는 a, b, c에 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만 b나 c를 선택한 경우 볼은 벙커내에서만 드롭되어야 한다.
    본 규칙에 의하여 처리할 경우 그 볼은 집어 올릴 수 있으며 닦을 수 있다.

    본 규칙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골 프 레 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규칙 9  (0) 2008.06.20
    골프규칙 8  (0) 2008.06.20
    골프규칙 6  (0) 2008.06.20
    골프규칙 5  (0) 2008.06.20
    골프규칙 4  (0) 2008.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