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조 볼의 수색과 식별(Searching For And Ident | ||
| ||
코스상의 자기 볼을 찾기 위하여 긴풀, 골풀, 관목(灌木)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을 만지거나 구부릴 수 있지만 그것은 볼의 라이, 의도하는 스탠스나 스윙 구역과 플레이의 선(線)을 개선함이 없이 볼의 소재(所在)와 자기볼을 확인하는 한도 내이어야 한다.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할 때 반드시 볼이 보이는 상태어어야 한다고 주장할 권리를 갖지 않는다. 해저드 내에서는 볼이 루스 임페디먼트 또는 모래에 덮어져 있다고 생각될 때 볼의 일부가 보이는 한도까지 그루스 임페디먼트나 모래를 클럽으로 후비거나 긁어 헤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너무 과도하게 제거해도 벌은 없으나 다만 볼의 일부만 보이도록 그 볼을 다시 덮어 주어야 한다. 이 경우 볼이 움직이면 벌없이 리플레이스 하여야 하고 필요하면 다시 덮어야 한다. 해저드외의 루스 임페디먼트의 제거는 규칙 23 참조. 비정상적인 코스 상태 내에 정지된 볼이 수색중에 움직여져도 벌은 없고 규칙 25-1b에 의한 처리를 선택하지 않을 때는 그 볼은 리플레이스하여야 한다. 플레이어는 그 볼을 리플레이스 하였더라도 규칙을 적용할 수 있으면 규칙 25-1b에 의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볼이 워터 해저드 내의 물속에 들어갔다고 믿어질 때는 클럽 기타물건으로 볼을 수색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휘저어서 찾을 때 볼이 움직여져도 규칙 26-1에 따른 처리를 선택하지 않는 한 그 볼은 리플레이스 하여야 한다. 볼이 움직인 원인이 휘저어 볼을 찾는 구체적인 행위에 직접적으로 기인(起因)한 것이었다면 볼을 움직인 것에 대한 벌은 없다. 그렇지 않을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18-2a에 의하여 1벌타를 받는다. 본 항의 반칙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 ||
| ||
정당한 볼을 플레이할 책임은 플레이어 자신에게 있다. 각 플레이어는 자기볼을 식별할 수 있는 표지(標識)를 해두어야 한다. 해저드 내(內)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자신의 볼이라고 생각되는 이유가 있는 경우 그 볼을 확인하기 위하여 벌 없이 집어 올릴 수 있다. 플레이어는 볼을 집어올리기 전에 매치 플레이시(時)는 상대방에게, 스트로크 플레이시(時)는 마커나 동반경기자에게 자신의 의사를 통고하고 그 볼의 위치를 마크해야 한다. 그 후 그의 상대방이나 마커 혹은 동반경기자에게 볼을 집어올리는 것과 리플레이스 하는 것을 감시할 기회를 준다면 그는 볼을 집어올리고 확인할 수 있다. 규칙 12-2에 의하여 볼을 집어 올렸을 경우 그 볼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닦아서는 안된다. 플레이어가 이러한 처리 절차의 전부 혹은 일부를 따르지 않은 경우, 혹은 해저드 안에서 자신의 볼을 확인하기 위하여 집어 올린 경우 플레이어는 1벌타를 받는다. 집어 올린 볼이 플레이어 자신의 볼인 경우 플레이어는 그 볼을 리플레이스 하여야 한다. 리플레이스 하지 않은 경우 플레이어는 규칙 12-2의 위반으로 일반적인 벌을 받지만 본 규칙에 의한 추가의 벌(1벌타)은 적용되지 않는다. 본 항의 반칙은 매치 플레이 -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 - 2벌타 플레이어가 규칙 12-2의 위반으로 일반적인 벌을 받은 경우 본 규칙에 의한 추가의 벌(1벌타)은 적용되지 않는다. | ||
제13조 볼은 있는 상태 그대로 플레이 | ||
| ||
볼은 규칙에서 따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있는 상태 그대로 플레이하여야 한다(정지된 볼이 움직여질 경우는 규칙 18 참조). | ||
| ||
규칙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경기자는 다음의 것을 개선하거나, 개선시켜서는 안된다. ·자기볼의 위치 또는 라이 ·의도하는 스탠스 또는 스윙구역 ·자기의 플레이선 또는 그 홀을 넘은 건너편의 그 선(線)의 적절한 연장부분 ·자기의 볼을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고자 하는 지역 즉, 이러한 상기목적을 위한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여서는 안된다. ·생장물 또는 고정물(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과 아웃 오브 바운드를 표시하는 물건 포함)을 움직이거나 구부리거나 꺽는 행위. ·지면의 울퉁불퉁한 곳을 고르게 하거나, 지면을 돋우는 행위 ·모래, 흩어진 흙, 메꾸어진 디보트, 새로 깐 잔디, 기타 표면이 고르지 못한 곳 등을 제거하거나 누르는 행위 ·이슬, 서리 또는 물을 제거하는 행위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나는 행위에는 플레이어가 벌을 받지 않는다. ·바른 스탠스를 취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경우 ·스트로크를 할 때 또는 스트로크를 하기 위하여 클럽을 후방으로 움직일 경우, 그리고 스트로크한 경우 ·티잉 그라운드에서 지면을 돋우거나 울퉁불퉁한 곳을 고르게 할 경우(규칙 11-1) ·퍼팅 그린위의 모래와 흩어진 흙을 제거하거나 손상된 곳을 수리할 경우(규칙 16-1) 클럽은 지면에 가볍게 놓을 수 있으나 그것으로 지면을 눌러서는 안된다. 예외:볼이 해저드 내에 있는 경우는 규칙 13-4 참조 | ||
| ||
플레이어는 스탠스를 취할 때에 지면을 단단히 밟을 수 있으나 스탠스의 장소를 특별히 만들지는 못한다. | ||
| ||
규칙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해저드내에 정지하고 있거나 또는 해저드(벙커 또는 워터 해저드) 내에서 집어올려서 해저드에 드롭 또는 플레이스할 볼을 스트로크 하기 전에 플레이어는 다음의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a. 그 해저드 또는 다른 유사한 해저드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것. b. 해저드 내의 지면, 워터 해저드 내의 물에 손이나 클럽을 접촉하는 것. c. 그 해저드 내에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는 루스 임페디먼트에 접촉하거나 움직이는 것. 예외: 1. 해저드의 상태를 테스트하거나 볼의 라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면 플레이어가 a) 넘어져서 또는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 또는 장해물을 제거하거나, 거리를 재거나, 규칙에 의거 볼을 회수하거나, 집어 올리거나, 플레이스 또는 리플레이스 하다가 해저드내의 지면이나 워터 해저드내의 물에 접촉하거나, b) 해저드내에 클럽을 놓는 행위에 벌타가 부가되지 않는다. 2. 스트로크를 한 후, 플레이어나 그의 캐디는 그 해저드 내의 모래 또는 흙을 정지(整地)할 수 있다. 그러나 볼이 아직 해저드내에 있거나 볼이 해저드에서 집어올려진 뒤 그 해저드 내에 드롭하거나 플레이스 하게 되는 경우는 라이의 개선이 되거나 그 홀의 계속되는 플레이에서 플레이어를 원조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주:어드레스시나 스트로크를 위한 백스윙 동작을 위하여 어떤 경우라도 플레이어는 클럽 등으로 장해물 또는 위원회가 코스와 불가분의 부분으로 선언한 구축물(構築物), 풀, 관목(灌木)숲, 수목(樹木), 기타 생장하고 있는 물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규칙b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볼의 수색은 규칙 12-1 참조) (워터해저드 안에 있는 볼의 구제 - 규칙 26) | ||
제14조 볼을 치는 방법 | ||
| ||
볼은 클럽의 헤드로 바로 쳐야 하며, 밀어 내거나 끌어 당기거나 또는 떠 올려서는 안된다. | ||
| ||
플레이어는 스트로크를 할 때 a. 어떤 종류의 물리적인 원조 또는 풍우(風雨)로부터의 방호(防護)를 받아서는 안된다. b. 그의 캐디, 파트너 또는 그의 파트너의 캐디를 볼 후방, 플레이 선 또는 퍼트 선의 연장선 상이나, 이에 가까운 위치에 세워서는 안된다. 본 규칙 14-1 또는 14-2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 ||
| ||
R&A는 인공의 장치와 비정상 용구에 대한 규칙을 개정하거나 이 규칙에 대한 해석과 변경하는 모든 권리를 보유한다. 플레이어는 어떤 용구의 사용이 규칙 14-3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의심스러울 때 R&A에 문의하여야 한다. 제조업자는 어떤 품목을 생산하고저 할 때, 플레이어가 정규라운드 동안 그것을 사용할 때 규칙 14-3 위반이 되지 않는지 판정받기 위하여 R&A에 견본(見本)을 제출해야 한다. 그러한 견본은 참고의 목적으로 R&A의 자산이 된다. 제조업자가 생산, 판매하기 전에 견본을 제출하지 않은 경우 그 제품의 사용이 골프규칙에 위반될 수 있는 위험을 부담하게 된다. 규칙에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규라운드 도중에 플레이어는 인공의 장치와 비정상적인 용구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a. 즉 플레이어가 스트로크 또는 플레이를 함에 있어 그에게 원조가 될 수 있는 물건 b. 플레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거리와 상황을 측정 또는 계량(計量)하는 목적의 물건 c. 클럽을 그립할 때 원조가 될 수 있는 물건 다만, 다음의 경우는 허용된다. (1) 평범한 장갑을 끼는 것 (2) 송진, 파우더, 건조제, 가습제 등을 사용하는 것 (3) 타월, 손수건을 그립에 감는 것 본 항의 반칙은 경기 실격. | ||
| ||
만일 1스트로크 중에 플레이어의 클럽이 2회 이상 볼에 맞았을 때 그 스트로크를 1타로 하고 벌 1타를 부가하여 합계 2타로 한다. | ||
| ||
플레이어는 볼이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 플레이하여서는 안된다. 예외: (1) 티에서 떨어지고 있는 볼(규칙 11-3) (2) 두 번 치는 볼(규칙 14-4) (3) 물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볼(규칙 14-6) 스트로크를 시작한 때 또는 스트로크를 하기 위하여 클럽을 후방으로 움직인 때, 움직이기 시작한 볼을 쳤을 경우 본 규칙에 의한 벌은 없으나 다음의 규칙들에 의한 벌은 면할 수 없다. (1) 정지하고 있는 볼을 플레이어가 움직인 경우 - 규칙 18-2a (2) 정지하고 있는 볼을 어드레스 후에 움직인 경우 - 규칙 18-2b (볼이 플레이어, 파트너, 캐디에 의하여 고의적으로 방향이 바뀌거나 정지된 경우 - 규칙 1-2 참조) | ||
| ||
볼이 워터 해저드 안의 물속에서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플레이어는 벌없이 스트로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볼의 위치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스트로크를 지체(遲滯)하여서는 안된다. 워터 해저드 내의 물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볼은 플레이어가 규칙 26의 적용을 선택한 경우에는 집어 올릴 수 있다. 본 규칙 14-5 또는 14-6의 위반은 매치 플레이는 그 홀의 패. 스트로크 플레이는 2벌타. | ||
제15조 교체된 볼:오구 | ||
| ||
볼이 분실, 아웃 오브 바운드 혹은 볼의 교체(규칙 15-2 참조)가 허용되거나 안되거나 간에 플레이어가 다른 볼로 교체한 경우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는 티잉 그라운드에서 플레이한 볼로 홀 아웃하여야 한다. 플레이어가 오구를 플레이한 경우에는 규칙 15-3을 참조한다. | ||
| ||
한 홀의 플레이를 끝마치기까지 플레이어가 다른 볼을 플레이하거나, 드롭하거나 플레이스하도록 허용된 규칙에 의하여 처리할 경우 플레이어는 볼을 교체할 수 있다. 그 교체된 볼은 인 플레이 볼로 된다. 규칙에 의하여 다른 볼로 교체가 허용되지 않는데, 플레이어가 볼을 교체한 경우 그 다른 교체된 볼은 오구가 아니고 인 플레이 볼로 된다. 플레이어가 규칙 20-6에 규정된 바와 같이 잘못을 시정하지 않고 그 잘못 교체된 볼을 스트로크한 경우 그는 해당되는 규칙에 규정된 벌을 받고,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그 교체된 볼로 그 홀을 끝마쳐야 한다. (오소에서의 플레이 - 규칙 20-7 참조) | ||
| ||
a. 매치 플레이 플레이어가 해저드 이외의 장소에서 오구를 스트로크한 경우 그는 그 홀의 패가 된다. 플레이어가 해저드 안에서 오구를 몇 번 스트로크해도 벌이 없다. 해저드 안에서 오구를 플레이한 모든 스트로크 수는 플레이어의 스코어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만일 오구가 다른 플레이어의 볼인 경우 그 볼의 소유주는 처음 플레이했던 지점에 볼을 플레이스하여야 한다. 플레이어와 상대편이 한 홀의 플레이중에 서로 볼이 바뀐 경우 먼저 스트로크한 쪽을 그 홀의 패로 하며 어느 쪽인지 확정할 수 없을 때에는 볼이 바뀐 상태 그대로 그 홀의 플레이를 마쳐야 한다. b. 스트로크 플레이 경기자가 해저드 이외의 장소에서 오구를 1회 이상 스트로크한 경우 2벌타를 받는다. 경기자가 해저드 안에서 오구를 몇 번 스트로크해도 벌이 없다. 해저드 안에서 플레이한 모든 스트로크 수는 경기자의 스코어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경기자는 올바른 볼을 플레이하거나 규칙에 의한 처리를 하여 그 잘못을 시정하여야 한다. 경기자가 다음 티잉 그라운드로부터 스트로크를 하기 전에 잘못을 정정하지 않거나 또는 그 라운드의 최종 홀에서의 경우 그 퍼팅 그린을 떠나기 전에 잘못을 시정할 의사를 선언하지 않으면 경기실격이 된다. 경기자가 오구로 플레이한 타수는 그의 스코어에 계산되지 않는다. 오구가 타(他) 경기자의 볼이었을 경우 그 볼의 소유자는 최초로 오구 플레이가 생긴 지점에 그 볼을 플레이스해야 한다. (플레이스 또는 리플레이스한 볼의 라이가 변경되었을 경우 규칙 20-3b 참조) (지점을 확정할 수 없는 경우 - 규칙 20-3c 참조) |
골 프 레 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