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 프 레 슨

버디를 잡는 50야드 어프로치

by 헤스티아 ™ 2007. 9. 20.

    상당수 아마추어 골퍼들은 50야드 안팎의 거리를 가리켜 "애매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파5 홀을 보자. 2온이 어려워 3온 전략을 구사한다고 했을 때 오히려 50야드를 남겨놓느니 홀 앞 100~120야드 지점에 볼을 떨구려고 한다.

아마추어 골퍼들이 50야드 안팎의 거리를 꺼리는 이유는 거리감이 없어서다. 그러나 기본적인 몇 가지 사항만 유의하면 버디를 잡을 찬스는 그만큼 많아진다.

실수 유형

● 어프로치 방향성이 좋지 않다.
● 뒤땅을 치는 치명적인 실수를 범한다.
● 거리 조절 능력이 떨어진다.

왼발이 축이다

어프로치는 많은 거리를 낼 이유가 없다. 정확한 임팩트와 방향성이 우선이다. 바꿔 말하면 체중 이동이 필요 없다는 얘기다. 사진을 보자. 내 몸무게의 대부분은 이미 왼발에 실려 있다.

과거에는 어프로치를 할 때 과도할 정도로 핸드퍼스트 동작을 취해야 한다고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된다.

왼발에 이미 체중을 실어준 동작 자체로 인해 손은 자연스럽게 볼보다 앞에 위치하게 된다. 아마추어 골퍼들이 오해하고 있는 것 중 또 다른 하나는 웨지를 잡을 때 너무 오른발 쪽에 볼을 놓는다는 것이다. 어떤 골퍼들을 보면 오른발 끝에 볼을 놓고 어드레스를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50야드 안팎은 기본적으로 띄우는 것이 목표다. 러닝 어프로치가 아니라면 탄도와 정확한 임팩트를 감안해 스탠스 가운데에서 볼 한 개 정도만 오른발 쪽에 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실제로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는 롱아이언에서 미드아이언 그리고 웨지에 이르기까지 볼의 위치를 스탠스 중심에서 볼 한 개 정도만 좌우로 이동시킨다. 컨트롤 능력을 위해 그립은 약간 내려 잡도록 한다.

△ 의도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핸드퍼스트가 된다.

△ 볼은 스탠스 가운데서 볼 한 개 정도 오른발 쪽에 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어드레스 단계부터 체중은 왼발에 둔다.

인위적인 페이스 조절은 금물

나의 경우 50야드 안팎에서 볼을 좀 더 높이 띄워야 할 경우에는 58도, 런이 조금 발생해도 괜찮을 경우에는 52도짜리 웨지를 사용한다.

그런데 아마추어 골퍼들 중에는 한 가지 웨지를 사용하면서 높이 띄울 때는 페이스를 과도하게 오픈하고, 약간 낮은 탄도의 샷을 구사할 때는 페이스를 닫아서 스윙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하지만 이는 치명적인 실수를 자초하는 것이다. 페이스를 열면 볼의 중간을 때리거나 토핑을 낼 확률이 커진다. 또 페이스를 과도하게 오픈하거나 닫으면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 것도 힘들다.

무엇보다 방향성이 중요한 만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페이스를 스퀘어로 놓고 스윙하도록 한다. 그래야 실수도 없다.

상체 회전으로만 스윙

어프로치에서는 하체 움직임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몸통 회전 동작만으로도 충분한 거리를 낼 수 있고 간결한 스윙을 위해서다.

테이크백과 백스윙 톱 자세를 보면 어깨만 회전했을 뿐 하체는 어드레스 자세와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코킹은 바로 이뤄지도록 한다.

몸의 무게 중심도 여전히 왼발에 실려 있다. 왼발 축은 스윙 내내 변하지 않아야 한다. 스윙 크기에 따른 거리는 골퍼마다 제각각 차이가 있는데 나는 50야드 어프로치에서는 백스윙 톱 단계에서 팔과 지면이 수평을 이룰 정도로 한다.

물론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스윙 크기에 따른 자신만의 거리감을 익히는 게 중요하다.

1.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상체만 회전한다. 클럽은 평소보다 약간 가파르게 들어올린다.

2. 백스윙은 팔이 지면과 수평을 이룰 정도까지만 한다.

눈앞에서 스윙 마무리

시작도 중요하지만 마무리도 깔끔해야 한다. 피니시 크기는 백스윙과 같도록 한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스윙이 끝났을 때 손은 몸통(혹은 눈) 앞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손이 뒤쪽에 있는 건 임팩트와 폴로스루 동작을 거치면서 클럽을 잡아챈 결과다.

왼손 엄지는 하늘을 향한다

아마추어 골퍼들은 볼을 띄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이나 혹은 샷이 너무 길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걷어 올리는 듯한 동작을 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은 임팩트 구간을 지나면서 클럽을 안쪽으로 잡아채는 동작을 유발한다. 원인은 백스윙이 너무 낮은 궤도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백스윙 톱에서 샤프트는 양어깨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이런 실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간단히 교정할 수 있다. 먼저 백스윙 톱 자세를 취한다. 그런 후 왼손 엄지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만약 뒤쪽을 향하고 있다면 궤도가 너무 낮다는 증거다.

이제 왼손 엄지가 하늘을 가리키도록 한다. 그러면 샤프트는 양 어깨 사이에 놓이게 된다. 그 자세 그대로 다운스윙을 하면 페이스와 볼은 자연스럽게 직각으로 만나게 된다.

A. 백스윙 톱에서 왼손 엄지가 하늘을 향하고 있으면 샤프트는 양 어깨 안쪽에 위치한다.

B. 손이 몸통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C. 임팩트 구간을 통과하면서도 팔을 앞으로 뻗어준다는 느낌을 갖도록 한다. 방향성이 우선인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