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 프 레 슨

굴러가는 거리를 늘린다

by 헤스티아 ™ 2007. 9. 11.
  비거리가 짧은 골퍼들은 대부분의 파5 홀에서 그린에 오르는 데 3타가 필요하지만 페어웨이가 단단하고 그린의 앞쪽으로 아무런 장애물이 없을 경우 2온을 노려볼 만하다. 이때 성공의 열쇠는 강력한 드로우를 구사하여 볼을 빠른 속도로 낮게 때려내는 것이다. 그러면 볼이 곧장 그린에 착륙하진 못하더라도 샷을 적절히 구사할 경우 지면에서 굴러가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 심지어 1퍼트로 이글을 잡을 수 있는 거리까지 볼을 붙일 수 있다.

●자세를 오른쪽으로 정렬한다

드로우 샷을 때릴 때의 표준 공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양발과 무릎, 엉덩이, 어깨를 볼이 처음 날아오르기 시작하는 방향으로 정렬한다. 클럽페이스는 볼을 최종적으로 보낼 지점을 향하도록 클럽을 잡는다. 스윙은 정상적으로 한다. 몸을 오른쪽으로 더 멀리 정렬할수록 볼은 왼쪽으로 더 심하게 휘어지며 타깃을 향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굴러가는 거리가 최대가 되지만 컨트롤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적절한 균형을 찾아야 한다.

●충분한 로프트의 클럽을 이용한다

탄도를 낮게 가져가야 하지만 3번 우드의 경우 페이스를 닫으면 실질적으로는 드라이버의 로프트가 되어 로프트 각도가 너무 낮아진다. 따라서 4번이나 5번 우드와 같은 추가적 로프트의 클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런 클럽은 볼의 비행거리와 굴러간 거리의 비율이 아주 좋으며, 샷을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확도는 샷의 핵심적 요소이다.

●샷은 영웅적이어도 스윙은 평범하게

이러한 샷의 목표가 추가적인 거리 증대에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드로우의 성공은 적절한 릴리스에 좌우된다. 즉 임팩트를 통과할 때 팔뚝을 틀어서 클럽페이스를 직각 상태에서 약간 닫힌 상태로 가져가야 한다.

몸을 유연하게 유지하면 이를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압력을 가볍게 유지하고 85~90퍼센트 정도의 힘으로 스윙해야 한다. 과격한 힘보다는 볼을 중심에 정확하게 맞추고 샷의 형태를 정확히 만들어내는 것이 볼을 그린으로 가져가는 확실한 지름길이다.

 

 

'골 프 레 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지 샷의 탄도 제어  (0) 2007.09.11
크로스오버 그립 [퍼 터]  (0) 2007.09.11
칩 샷이 날아갈 지점을 날카롭게 응시한다  (0) 2007.09.11
칩 샷과 피치 샷  (0) 2007.09.11
높이 쏘아올리기 샷  (0) 200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