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계보
조선 왕조는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유지되었으며 태조에서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명의 국왕이 통치하였다.
왕의 이름은 함부로 부를 수 없었으며,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등의 호칭은 왕이 죽은 후 삼년상이 끝난 뒤에 붙여졌다. 신하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하여 공이 많은 왕에게는 '조'를, 덕이 출중한 왕에게는 '종'을 붙였다. 폐위된 왕의 경우에는 '군'이라는 호칭이 붙었다.
조선왕들의 평균 수명은 47세이며, 평균 즉위 연령은 24세이고, 평균 재위기간은 19년 2개월이다.
[조선왕조 계보]
대 |
왕 |
즉위년도 |
재위기간 |
주요 일지 |
1 |
태조(太祖) |
1392 |
6 |
-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 |
2 |
정종(定宗) |
1398 |
2 |
-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 |
3 |
태종(太宗) |
1400 |
18 |
-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 |
4 |
세종(世宗) |
1418 |
32 |
-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 |
5 |
문종(文宗) |
1450 |
2 |
- 유교적 이상 정치 |
6 |
단종(端宗) |
1452 |
3 |
- 12살에 왕위에 올랐으나 계유사화로 |
7 |
세조(世祖) |
1455 |
13 |
- 단종을 좇아내고 왕위에 오른 수양대군 |
8 |
예종(睿宗) |
1468 |
1 |
- 경국대전을 완성 시킴 |
9 |
성종(成宗) |
1469 |
25 |
- 숭유억불, 인재등용 등 조선초기의 문물 |
10 |
연산군(燕山君) |
1494 |
12 |
- 폭군으로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
11 |
중종(中宗) |
1506 |
38 |
- 혁신정치를 기도하였으나 훈구파의 원한으로 |
12 |
인종(仁宗) |
1544 |
1 |
- 기묘사화로 없어진 현량과를 부활함. |
13 |
명종(明宗) |
1545 |
22 |
- 12세에 즉위하여 을사사화, 정미사화, |
14 |
선조(宣祖) |
1567 |
41 |
- 16세에 즉위 |
15 |
광해군(光海君) |
1608 |
15 |
- 당쟁으로 임해군, 영창대군을 역모로 죽이고 |
16 |
인조(仁祖) |
1623 |
26 |
- 이괄의 난, 병자호란, 정묘호란을 겪음 |
17 |
효종(孝宗) |
1649 |
10 |
- 병자호란으로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 |
18 |
현종(顯宗) |
1659 |
15 |
- 즉위 초부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의해 많은 |
19 |
숙종(肅宗) |
1674 |
46 |
- 남인, 서인의 당파싸움(기사사화) |
20 |
경종(景宗) |
1720 |
4 |
- 숙종의 아들로 장희빈 소생. |
21 |
영조(英祖) |
1724 |
52 |
- 탕평책을 써서 당쟁을 제거에 힘씀 |
22 |
정조(正祖) |
1776 |
24 |
- 탕평책에 의거하여 인재를 등용 |
23 |
순조(純祖) |
1800 |
34 |
- 김조순(金組淳) 등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시대 |
24 |
헌종(憲宗) |
1834 |
15 |
- 왕5년에 천주교를 탄압하는 기해사옥 발생 |
25 |
철종(哲宗) |
1849 |
14 |
- 헌종이 후사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황후의 |
26 |
고종(高宗) |
1863 |
44 |
-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
27 |
순종(純宗) |
1907 |
3 |
- 고종의 둘째 아들 |
(자료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사실록)